정부,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 수립···2040년까지 42조원 투자
상태바
정부,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 수립···2040년까지 42조원 투자
  • 김천규 기자
  • 승인 2019.08.01 17: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12개 신항만 개발···부두 총 119선석, 배후부지 3956만m2 조성
2040년까지 연간 18억 5000만톤 처리하는 하역능력 갖춰
전국 신항만 개발계획.
전국 신항만 개발계획.

[매일일보 김천규 기자] 정부는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제8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개최하고, 전국 12개 신항만에 대한 중장기 개발계획을 담은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2019~2040)’을 확정했다.

이번 신항만건설기본계획은 1997년 최초 고시 이후 20년 만에 수립된 기본계획이다. 전국 12개 신항만에 대해 오는 2040년까지 재정 16조 819억 원, 민자 25조 7734억 원 등 총 41조 8553억 원을 투자해 부두 총 119선석, 배후부지 3956만m2을 조성하고, 연간 4억 3000만 톤의 화물 처리시설을 추가 확보해 2040년에는 연간 18억 5000만 톤을 처리할 수 있는 하역능력을 갖춰 나갈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을 기존 10개 신항만에 제주신항, 동해신항을 추가로 지정했다. 제주신항에는 중장기적으로 크루즈 등 해양관광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동해신항은 신북방정책에 맞춰 환동해 전진기지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해수부는 이와 함께 항만별로 정책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세부적인 추진전략을 수립했다.

서해권을 신남방‧대중국 교역 중심항만으로 구축.
서해권을 신남방‧대중국 교역 중심항만으로 구축.

먼저 부산항 신항은 21선석 규모의 제2신항 개발을 통해 2만5000 TEU급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메가포트로 육성한다. 대형선박 접안을 위해 부두규모를 증대(안벽 350m→400m, 장치장 길이 600m→800m)하고, 수심을 DL(Datum Level, 수심기준면) 23m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또 스마트 자동화 항만, LNG벙커링 터미널, 수리조선단지 등을 구축, 2040년에는 물동량 기준 세계 3위의 항만으로 도약시켜 나가고자 한다.

광양항은 제철·석유화학산업, 자동차‧컨테이너화물 처리, 해운·항만 물류 연구개발(R&D) 등의 집적을 통해 물류시장을 선도하는 아시아의 로테르담 모델로 개발한다.

이를 위해 제조·물류기업이 입주 가능한 총 1115만㎡ 배후부지를 공급해 연관산업을 집적시키고, 석유·철재·목재 등의 화물전용부두 확보, 배후단지 전력용량 확대(22.9→154kV)를 통해 기업의 물류‧제조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로테르담항만의 에너지물류, 스마트화, 지능화, 친환경화 등 각종 모델을 벤치마킹해 세계적인 스마트‧친환경 산업물류 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인천항, 평택‧당진항, 새만금신항, 목포신항은 신남방‧대(對)중국 교역 중심축으로 육성한다. 인천신항에는 스마트 친환경 컨테이너 부두 5선석을 확충, 2015년 개장 이후 급격히 늘어나는 수도권 화물을 수용하고, 인근 배후도시와 상생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인천북항 진입항로 준설을 통해 5만 톤급 이상의 대형선박이 조수대기 없이 안전하게 통항할 수 있도록 관련 기반시설을 개선키로 했다.

새만금신항은 농생명·식품·물류·관광산업과 연계한 환황해권 거점항만으로 육성한다. 선박 대형화에 대비, 기존 2~3만 톤급으로 계획된 부두 규모를 5만 톤급으로 확대하고, 새만금신항 조기 활성화를 위해 일부부두(크루즈·잡화부두 2선석)를 재정으로 전환한다.

울산신항, 포항영일만항, 동해신항 등 환동해권의 신항만은 신북방시대에 대비한 대북방 경제 전진기지로 탈바꿈 한다.

울산신항은 LNG탱크, 벙커링 터미널 등 조성으로 유류, 액체화물을 처리하는 ‘오일허브’에서 LNG가스까지 함께 처리하는 ‘동북아 에너지 허브항만’으로 거듭나도록 하고, 동해신항은 국내 산업원자재 최대 수출입항만인 만큼 대북방 경제 전진기지로 육성하기 위해 석회석, 기타광석, 석탄 등의 원자재 부두 7선석을 확충할 계획이다.

제주신항을 복합해양관광항만으로 조성. 자료=해양수산부
제주신항을 복합해양관광항만으로 조성. 자료=해양수산부

새롭게 지정된 제주신항에는 최대 22만 톤급의 크루즈부두 4선석과 여객부두 9선석을 확충하는 한편 원도심과 연계한 ‘해양관광 허브 항만’으로 육성, 2040년에는 470만 명의 크루즈 및 국내 연안여객 관광객을 유치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항만의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을 도모해 항만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으로 이번 신항만건설기본계획에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도 담았다.

먼저 기존 항만의 화물처리 과정에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5G 등의 정보통신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항만을 부산항 신항 2-6단계, 인천신항 1-2단계부터 도입할 예정이다.

또 내년부터 IMO의 선박 황산화물 배출 규제 영향으로 친환경 LNG 추진 선박으로의 전환이 확대됨에 따라 LNG 선박 급유시설뿐 아니라 2만 TEU 이상의 대형선박 수리가 가능한 ‘수리조선단지’를 조성해 항만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단순 수출입, 환적화물 처리기능을 넘어선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 외에도 항만 내 선박 접안 시 오염원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육상전원공급시설을 설치해 모래, 양곡 등 벌크형 화물의 비산먼지 확산방지를 위해 밀폐형 하역시스템을 확대한다. 또 항만이 도심과 근접해 소음, 대기 등의 환경문제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항만과 도심의 경계부에 수림대로 이뤄진 환경구역(Eco-Zone)을 마련할 예정이다.

문성혁 해수부장관은 “이번 제2차 신항만건설기본계획에 따라 신항만 개발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제환경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가 항만물류 선진국으로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