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人사이드] ‘워커홀릭’ 김동호 팀장, “삼성에 ‘입사’ 말고 ‘투자’를 해라”
상태바
[투자人사이드] ‘워커홀릭’ 김동호 팀장, “삼성에 ‘입사’ 말고 ‘투자’를 해라”
  • 홍석경 기자
  • 승인 2019.07.31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동호 유진선물 팀장, 가치투자로 80억대 자산가 반열 합류
“결국 주식투자는 기업이 미래 얼마나 돈을 벌어들이는 지가 중요”
“돈과 행복이 꼭 비례하진 않아…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가 더 소중해”
김동호 유진투자선물(상품운용3팀) 차장이 매일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유진투자증권 제공.
김동호 유진투자선물(상품운용3팀) 팀장이 본지 기자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유진투자증권 제공.

[매일일보 홍석경 기자] “돈을 벌고 싶다면 삼성전자 입사 말고 삼성같은 회사에 투자를 해라”

김동호 유진투자선물 팀장의 말이다. 김 팀장은 지난 2005년 금융투자업계에 입성한 이후 14년째 금융매매담당원(트레이더)로 활동 중이다. 그는 1978년생으로 올해 42세(미혼)의 100억원대 자산가로 입소문 난 소위 ‘샐러리맨’ 신화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하지만 김 팀장의 첫 사회생활은 호락호락 하지 않았다. 캐나다 유학시절은 소위 ‘아싸(아웃사이더; 조직에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을 뜻하는 인터넷 은어)’에 가까운 생활을 했고 성적도 좋지 않아, 남들보다 늦은 졸업을 했다.

우여곡절 끝에 입사한 증권사에서는 세 번이나 짤리는 등 굴곡도 겪었다. 다만 트레이더로 활동하면서 가치투자 분야에서 두각을 보이며 업계 주목을 받게 된다. 현재 남들 부러워하는 자산가 반열에 올랐지만 그의 삶은 소박한 편에 속한다. 올해 3년째 사이클 매니아로 소소한 행복을 누리고 있는 김 팀장. 특히 돈을 쓰는 것보다 벌어들이는 데서 재미를 느껴 일을 놓을 수가 없다고 한다. 기자가 만난 그는 자산가라고 보기엔 인터뷰 내내 진솔하고, 어떤 면에서는 순수함 마저 느껴졌다. 투자의 대가 피터린치와 워런버핏으로부터 영감을 얻었다는 그의 삶과 투자 철학에 대해 이야기를 들었다.

◇모범생에겐 버거웠던 캐나다 유학생활, 귀국 후 아버지의 사업실패…우역곡절 끝 증권사 입문

김 팀장은 캐나다 유학파다. 학창시절에도 성적표에서 ‘수’를 놓치지 않은 모범생이었다. 그의 유년시절은 아버지의 두부사업으로 부족할 것 없는 환경에서 자랐다. 하지만 아버지는 꼭 학비만큼은 꼭 그에게 직접 벌라고 했다고 한다. 김 팀장은 “아버지가 굉장히 무서운 분이셨다. 어릴 적 두부공장을 운영하셨는데, 경기에 따라서 집안 분위기가 달라지더라(웃음). 그래서 진짜 그래야 하는 줄 알았다. 나중에 캐나다 유학을 해보니 세상에 돈 많은 사람이 이렇게 많은지 처음 알았다”며 웃음을 보였다.

국내에서 줄 곧 상위권을 유지하던 그가 우리나라 대학교를 포기하고 입학한 곳은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에 있는 명문 ‘맥마스터(맥)’ 대학교다. 여기서 그는 컴퓨터사이언스(컴퓨터공학)를 전공했다. 김 팀장은 대학교를 졸업하고 캐나다에서 삶을 시작하고 싶었다고 한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았다. 당시 영어가 완벽하지 않았을 뿐더러 쟁쟁한 인재들과 경쟁하는 것이 그에게 굉장히 버거운 일이었다.

그는 “캐나다에서는 다국적으로 뛰어난 인재들이 많이 밀집해 있다. 인도나 중국 등 뛰어난 친구들이 많았는데, 공부하기가 굉장히 힘들다. 캐나다는 졸업이 정말 힘들다. 어떤 과목의 성적이 일정수준 이상 나오지 않으면 다음 수업을 들을 수가 없다. 공부를 못하니깐 3학년 때 조별 과제를 하는데, 아무도 나랑 조 구성을 안 하려고 하더라. 대학교 때서야 깨닫게 된 것 같다. 세상이 호락호락 하지 않다는 것을”이라고 회상했다.

그가 대학교를 졸업할 때쯤인 2005년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집안 환경도 이전과 같지 않았다고 한다. 김 팀장은 ”귀국하고 나니 집안이 많이 어려워져 있었다.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두부공장은 문을 닫게 됐고, 이제는 정말 내가 돈을 벌어야 하는 구나라고 생각했다. 사실 금융감독원이나, 산업은행에 취업하고 싶었지만 생각대로 안 되는 바람에(웃음)... 증권사로 사회생활에 첫 발을 띄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대학생활을 생각해보면 내가 이렇게 성공 했나 느낄 때가 많다. 나의 장점은 성실하다. 뭘 줘도 열심히 한다. 어릴 적엔 아버지가 사업을 하다 보니 집에서 많은 챙김을 받지는 못했다. 나는 항상 하고 싶은 게 많았기 때문에 요구 하는 것도 많았다. 내가 하는 일에 장벽이 있는 게 싫다”고 덧붙였다.

김동호 팀장이 본지 기자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유진투자증권 제공
김동호 팀장이 본지 기자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유진투자증권 제공

◇가치 투자의 핵심, “정말 저평가 됐을까 고민하고 분석해라”

김 팀장이 첫 시작부터 시드머니(초기자본)를 가지고 투자에 뛰어든 것은 아니다. 리딩투자증권에서 첫 사회생활을 시작한 그는 남들과 다를 바 없는 월급쟁이나 마찬가지였다. 다만 증권사에서 트레이더로 근무하면서 학습한 업무경험은 가치주를 발굴하는데 디딤돌 역할을 했다.

김 팀장은 비상장주식 중심으로 가치주를 발굴하려는 데 힘을 쏟았다고 한다. 이를 통한 장기투자와 복리효과는 그가 부를 거머쥐는데 힘을 더했다. 복리란 중복된다는 뜻의 한자어 복(復)과 이자를 의미하는 리(利)가 합쳐진 단어로서 말 그대로 이자에 이자가 붙는다는 뜻이다. 원금과 이자가 재투자된다는 가정 했을 때 초기에는 증가폭이 크지 않지만 기간이 길어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커진다.

그는 “사실 주변에서 100억대 자산가라고 하지만 80몇 억 되는 것 같다.(웃음) 초기에 시드머니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월급과 성과급 등을 모아 시드머니를 마련했고 자산이 불어난 가장 큰 요인은 복리효과다”며 “2005년 투자를 시작해 복리효과 때문에 시장이 괜찮았던 2012년에서 2014년 성과가 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상장주식 중에서 미래성장이 기대되는 가치주를 중심으로 분산투자했다. 대부분이 주가수익비율(PER)이 낮은 저평가 종목 중심이다. 가치주를 발굴하려면 단순 수익성만 따지는 게 아니라 영업 환경적인 요인들도 잘 살펴야 한다. 예를 들면 중국의 친환경 정책으로 LNG선을 늘린다고 했을 때, 이와 연관이 깊고 미래 수익이 예상되는 기업의 밸류를 따져보는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이런 투자가 가능하려면 김 팀장처럼 투자에 대한 전문지식을 겸비하고 있거나, 투자하고자 하는 종목에 대한 밸류 분석이나 시장을 볼 줄 아는 시야를 길러야 하는 등 부단한 노력과 경험이 필요하단 점을 잊지 않길 바란다. 그는 특히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의 사업모델을 이해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팀장은 “결국 주식은 단 하나다. 미래에 이 회사가 돈을 얼마나 벌 것인가. 이게 중요하다. 사업모델을 이해하는 것이다”며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이 종목이 과연 저평가 된 기업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가 꼽은 성공한 투자자들의 공통점은 선한 마음과 근성이다. 특히 투자에 있어 탐욕은 망하는 지름길이라고도 경고했다. 그는 “사람이 선하고 근성이 있으면 뭘 해도 잘하는 것 같다”며 “투자에 탐욕이 있으면 안 된다. 선한 사람은 탐욕에 넘어갈 가능성이 적다”고 했다. 이어 “투자하고자 하는 종목이 있으면 집요하게 분석하는 근성도 중요하다. 투자를 꾸준히 잘하는 사람의 근성은 선하고 근성이 있는 공통점이 있다”고 조언했다.

김 팀장은 자신을 사랑할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뻔한 말 같지만 인터뷰 중 가장 와 닿았다. 그의 투자 철학은 매우 확고했다. 김 팀장은 “워런버핏은 자기관리를 투자 철학으로 삼았다. 우리 투자자들 사이에는 ○○○게이트라고 있다. 그 사람이 말하는 종목은 무조건 오른다. 하지만 나는 내 철학을 믿기 때문에 남의 말 듣고 투자하지 않는다. 내가 쌓아온 투자 철학이 무너질까봐. 평생 하나 뿐인 나를 사랑하는 게 가장 중요 하다”고 강조했다.

김동호 팀장이 본지 기자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사진=유진투자증권 제공
김동호 팀장이 본지 기자의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다. 사진=유진투자증권 제공

◇“돈 벌고 나니 행복에 대한 고민 시작…사람이 착하고 선하다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아” 

김 팀장은 최근 52시간 근무와는 거리가 먼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워커홀릭’이다. 어찌 보면 사장님이 가장 좋아하는 스타일의 직원이기도 하다. 좋은 종목을 발굴하기 위해 낮과 밤 지금도 구분 없이 공부하는 것은 물론, 본인 스스로 일을 하기 위해 주말 출근도 잦다. 그는 “일만 생각하다 보니 생각보다 짠돌이였다”며 “돈 쓰고 싶은 시간보다, 돈 벌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게 너무 아깝다”고 말했다.

특히 기자는 실적공시를 보면 설렌다는 그의 말에 놀랐다. 증권부 기자로 근무한 지가 5년이 다 되가지만 단 한번도 공시를 보고 설랬던 적이 없기 때문이다. 김 팀장은 “자산가들은 대부분이 나이가 많다. 그런 사람을 보면 저 일이 정말 좋은가보다 느낀다. 내가 하는 일을 잼있게 하는게 중요한거 같다. 새로운 이성을 알아갈 때의 흥미처럼 일을 해야 한다. 실적 공시를 보면 설렌다. 내 예상대로 나와준다면 뿌듯하다”며 정말 설레는 표정을 지었다.

문득 자산가의 삶이 궁금해졌다. 그는 우리가 흔히 상상하는 자산가의 화려한 삶과는 거리가 멀었다. 요즘 어떻게 지내냐는 질문에 김 팀장은 지인들과 사이클을 즐길 때가 가장 행복하다고 답했다. 수 십 억대 자산가지만 그의 삶은 굉장히 소탈한 편이었다. 한참 돈을 많이 벌 당시에도 그의 카드 값은 일 년에 1000만원 남짓이었다고 한다.

김 팀장은 한 때 조그만 한 자산운용사의 사장이기도 했지만 회사를 팔고 나와선 허무함마저 느꼈다고 한다. 그는 “잘 사는 부류의 친구들과 어울리고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랑 같이 일하면서 재미있게 살려고 했는데 그렇지 못 할 때가 많았다. 밥 먹을 사람마저 없어진다는 게 굉장히 허무하더라. 나와 친한 사람들이랑 멀어졌다는 느낌에”라고 했다.

그와 인터뷰에서 재미있던 점은 어느 정도 돈을 벌고 나니 행복에 대한 고민이 시작됐다는 것이다. 무작정 돈이 많다고 해서 행복하지 않았다는 말이다. 그는 “돈은 자본주의에서 꼭 필요하지만 먹고 살만 하면 돈이 주는 행복감은 떨어진다. 나 역시 어느 정도 돈을 벌고 나니 행복에 대한 고민을 한 것 같다. 워런버핏은 사랑을 받으려면 사람들한테 베풀라고 강조했다”며 “돈이 주는 행복은 나의 기대치와 비례해 정해지는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어떻게 하면 행복하게 살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에 눈에 보이는 것들 보다는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가치를 바라보길 권했다. 그는 “유형적 가치보다 무형적 가치를 알아봐야 한다. 돈이 없을 때 안보이던 것들이 돈을 벌고 나니깐 보이기 시작 한다”며 “착하고 선하다는 가치가 더 크다는 것을 알게 됐다. 시야가 더 넓어졌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돈을 벌고 싶다면 직장인이 아니라 ‘투자자’가 되길 강조했다. 그는 “외국에서는 돈을 벌고 싶어 하는 사람에게 투자를 잘 하라고 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좋은 노동력이 돼서 삼성전자 직원이 되라고 하지, 삼성전자 같은 회사에 투자하라고는 안 하는 것 같다”며 “교육부터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런 투자를 잘하는 인력들이 많이 나와 줘야한다. 우리나라도 금융업이 발전해서 수익을 창출해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금융 교육을 해서 우리도 외국기업에 투자 해 성과를 내야한다”고 강조했다.

담당업무 : 보험·카드·저축은행·캐피탈 등 2금융권과 P2P 시장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