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구조조정] 중국산 저가상품·지자체 압박 등 대내외 파고 넘어야
상태바
[산업 구조조정] 중국산 저가상품·지자체 압박 등 대내외 파고 넘어야
  • 성희헌 기자
  • 승인 2019.06.16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中 철강사 국내 진입… 수요 잠식 우려
‘10일 행정처분’ 등 오염물질 배출 논란
국내 철강업계가 중국산 저가상품과 지방자치단체 압박 등 대내외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사진은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내부. 사진=현대제철 제공
국내 철강업계가 중국산 저가상품과 지방자치단체 압박 등 대내외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사진은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내부. 사진=현대제철 제공

[매일일보 성희헌 기자] 국내 철강업계가 구조조정 마무리에도 불구하고,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중국 철강기업 국내 진출과 지방자치단체 압박 등 대내외 파고를 넘어야하기 때문이다.

16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세계 1위 스테인리스 원자재 제조업체인 중국 청산강철이 부산시에 대규모 냉연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철산강철은 지난달 스테인리스 냉연공장의 한국 신설을 위한 투자의향서를 부산시에 제출했다.

이 같은 청산강철의 진출은 무역규제로 인한 열연제품 판로 축소에 대응해 신규 판매처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청산강철의 한국 내 생산 거점이 마련될 경우, 국내 스테인리스 냉연 업계는 고사될 위기에 놓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내 스테인리스 냉연 업계는 이미 공급 과잉 상태다. 청산강철이 저가 열연 사용 및 외투기업 세제 혜택을 무기로 냉연제품을 대량 판매할 시 국내 수요 전체가 잠식당할 수 있다. 국내 스테인리스냉연 부문의 연간 수요는 100만t 수준이지만 청산강철 합작법인은 연간 50만t 생산이 가능하다.

저가의 중국산 철강 유입 문제는 이미 철강업계 전반적으로 확산됐다. 중국산 제품 수입이 늘어나면서 국내 철강업체의 경영난도 가중되는 상황이다. 아연도금철선의 경우 국내 시장 규모는 1000억원 수준으로 중국산이 80% 가량을 점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국내 업체의 시장점유율은 하락하고, 관련 기업의 적자 폭도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국내 제철소의 핵심 시설인 고로(용광로)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포스코는 지방자치단체의 조업정지 10일 행정처분 절차를 밟고 있다.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 모두 고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브리더’를 개방해 가스를 배출했다는 이유에서다.

현대제철 당진제철소도 마찬가지다. 현대제철은 브리더를 임의로 열어 충남도로부터 제2고로 조업정지 10일 행정처분을 받았다. 브리더는 공정에 이상이 발생하면 고로 폭발을 막기 위해 가스를 배출하는 폭발방지 안전시설이다.

업계는 1개 고로가 10일간 정지되면 복구에 3~6개월이 걸리고, 8000억원 이상 달하는 매출 손실이 발생한다고 우려하고 있다. 고로 가동이 열흘간 중단되면 내부에 쇳물이 눌어 붙을 수 있고 고로가 아예 파손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고로 정비 중에 폭발을 방지하려면 브리더를 개방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전 세계에 고로를 운용하는 철강회사는 모두 똑같은 공정을 거치는 만큼 행정처분이 부당하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장기화되는 미중 무역 갈등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국내 철강의 수출 물량은 3043만9999t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3.9% 줄었다. 2013년 2919만857t 이후 5년 만에 최저치다. 포스코도 철강 수출 비중이 2017년 46%에서 작년 42.5%로 3.5%p 하락했다.

다만 지난 14일 미국 상무부가 국내 철강기업의 열연강판에 대한 관세율을 인하한 점은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한국산 열연강판에 대한 1차 연례재심에서 포스코 열연 제품에 적용할 상계관세율을 기존 41.57%에서 0.55%로 낮춘 상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