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구조조정]국내 자동차 산업, 잦은 파업과 높은 인건비…예고된 추락
상태바
[자동차 구조조정]국내 자동차 산업, 잦은 파업과 높은 인건비…예고된 추락
  • 문수호 기자
  • 승인 2019.05.27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1~4월 세계 자동차 누적 판매량, 2973만대 6.6% 감소
국내 완성차 업계, 통상임금 문제 등 고비용 저효율 문제 심각
전 세계 전기차 전환 추세…내연기관 퇴출로 인력 구조조정 불가피
부분 파업으로 작업이 멈춰 있는 르노삼성 부산 공장 모습. 사진=르노삼성 제공
부분 파업으로 작업이 멈춰 있는 르노삼성 부산 공장 모습. 사진=르노삼성 제공

[매일일보 문수호 기자] 한때 세계 5대 자동차 생산국가로 위상을 높였던 국내 자동차 산업이 최근 부진을 면치 못하며 좀처럼 반등의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동차 생산규모는 지난 2016년 세계 5위에서 이듬해 인도에 추월당해 6위로 떨어졌다가 2018년에는 멕시코에도 밀려 7위로 내려앉았다.

올해 1분기에는 멕시코와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며 연간 400만대 생산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중국의 사드보복으로 인한 실적 감소 영향으로 시작된 자동차 업계의 부진으로, 연간 생산은 2017년 411만4913대에서 2018년 402만8724대로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판매 역시 409만396대에서 400만987대로 2.2% 줄어, 올해는 400만대 체제가 깨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국내 자동차 업계의 부진은 업황 침체와 더불어 내부적인 고용 문제가 이유로 꼽히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업계의 고용시장은 높은 인건비와 귀족노조라 불리는 강성 노조로 인해 매년 노사 간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인건비는 경쟁력 약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지난 2011년 기아차 근로자들이 정기 상어금, 중식비 등을 통상임금으로 포함해야 한다며 소송을 냈는데 법원이 1~2심 모두 노조 측 손을 들어주면서 인건비가 눈덩이처럼 불었다.

비록 노사 합의가 이뤄지면서 지급해야 하는 인건비용이 다소 줄어들었지만, 현재 국내 자동차 업계의 매출 대비 인건비 비중은 중국은 물론 일본이나 독일 등과 비교해도 높은 편이다. 통상임금 소송 패소로 불가피하게 오른 인건비 비중은 매출 감소로 인해 더욱 높아질 우려가 있다.

현재 전 세계 자동차 업계 추세는 공장을 폐쇄하며 전반적인 인원 감축에 들어갔다. 미국 GM은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내 제조업 살리기 정책에도 불구하고 일부 공장들의 문을 닫았다.

이 과정에서 국내 군산공장도 폐쇄됐는데, 포드도 오는 9월까지 전 세계에서 7000명의 인력을 감축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 같은 업계 내 변화는 현재 자동차 업계가 변화의 기로에 서면서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올해 1~4월 세계 자동차 누적 판매량은 2973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6.6%나 감소했다.

반면 전기차 판매량은 급증한 모습을 보였는데, 내연기관 차의 판매 감소와 친환경차의 판매 증가는 갈수록 늘어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인력 구조조정이 발생하게 되는데 전 세계 자동차 업체들은 전기차로의 전환을 앞두고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들어가고 있다.

그러나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여전히 강성 노조로 인해 개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르노삼성자동차만해도 국내 신차 배정과 닛산 로그의 후속물량 배정이라는 중요한 시기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11개월째 파업을 벌이고 있다.

르노삼성 부산공장은 지난 2016년 하버리포트의 생산지표에서 전 세계 148개 공장 중 종합 8위에 오르며 경쟁력을 뽐냈지만, 현재는 후속물량 배정을 받지 못해 가동률이 급감할 위기에 처해 있다.

현대자동차 노조의 경우 지난해 수년 만에 노사 간 원활한 합의를 마치며 기대감을 높였지만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업계에 따르면 노조 내부에서 전기차로의 전환 시 일부 인력 감소가 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놓고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지만 그동안의 행태를 비춰볼 때 언제든지 강경하게 태세전환이 이뤄질지 모른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자동차 시장의 고비용・저효율 문제는 산업 발전에 발목을 잡는 요소”라며 “자동차 산업의 업황 반등을 위해서는 노조 문제가 선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