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매각] 박삼구 회장 잘못된 경영판단, 그룹 생존마저 위협
상태바
[아시아나항공 매각] 박삼구 회장 잘못된 경영판단, 그룹 생존마저 위협
  • 박주선 기자
  • 승인 2019.04.15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때 재계 순위 7위에서 60위권 아래로 뚝
아시아나 자회사도 빠지면 금호고속·금호산업만 남아
과거 박삼구 전 회장의 무리한 사세 확장에 결국 발목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박주선 기자] 금호아시아나그룹이 핵심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을 매각하기로 결정하면서 중견기업 수준으로 축소될 전망이다. 금호그룹은 과거 재계순위가 7위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아시아나항공이 빠지게 되면서 60위까지 내려앉을 것으로 보인다.

재계에서는 그룹 오너인 박삼구 전 회장의 잘못된 경영판단이 그룹 전체의 위기를 불러왔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른바 '오너 리스크'가 현실화된 대표적인 사례라는 것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지난 10일 채권단에 박삼구 전 회장의 영구 퇴진, 박 전 회장 일가의 금호고속 지분에 담보 설정, 아시아나항공 자회사 매각 등을 조건으로 5000억원의 자금수혈을 요구한 바 있다.  

그러나 채권단은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에는 미흡하다”며 금호아시아나의 자구계획을 거부했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결국 채권단의 압박에 아시아나항공의 매각을 선택했다. 주 채권은행인 산업은행 등으로부터 외부 차입이 없을 경우, 그룹 전체가 유동성 위기에 빠지기 때문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말 기준 총 3조4400억원의 차입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중 1년내 상환해야 할 단기채는 1조3200억원이다. 해당 금액은 금호아시아나가 자력으로 마련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금호고속→금호산업→아시아나항공’으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다. 하지만 아시아나항공의 매각으로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금호고속과 금호산업만 남게 됐다.

이에 따라 한 때 7위(2008년)까지 올라갔던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재계 순위는 자산기준으로 중견그룹 수준인 60위 밖으로 밀려날 전망이다.

지난해 아시아나항공의 자산은 6조9250억원으로, 그룹 총자산 11조4894억원의 60%를 차지했다. 사실상 그룹이 3분의 1 규모로 쪼그라드는 셈이다.

특히 아시아나항공이 보유한 자회사도 모두 매각하게 되면서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전체 매출 가운데 70% 이상이 빠질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나항공은 에어부산(보유 지분율 44.2%), 아시아나IDT(76.2%), 아시아나에어포트(100%), 아시아나세이버(80%), 아시아나개발(100%), 에어서울(100%) 등을 계열사로 보유하고 있다.

재계에서는 이번 아시아나항공 매각이 과거 박 전 회장의 무리한 인수합병(M&A)과 부실경영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앞서 박 전 회장은 2006년 대우건설, 2008년 대한통운을 잇달아 인수하며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재계 순위를 7위까지 올려놨다. 당시 그룹 자산 규모는 26조원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무리한 사세 확장이 발목을 잡으며, 그룹의 위기가 시작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건설경기 둔화로 대우건설의 기업가치가 떨어졌다. 

재무적투자자(FI)들이 자금을 회수하면서 그룹 전체에 유동성 위기가 닥쳤다. 결국 회사는 2009년 말 그룹 경영권을 산업은행에 내줬다.

박 전 회장은 2010년 채권단의 요구에 ‘전문경영인’으로 회장직에 복귀했다. 이후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대우건설과 대한통운 등을 매각했다. 

2015년에는 산업은행에 인수대금 7228억원을 완납하고 금호산업을 인수하며 금호아시아나그룹의 경영권을 확보하기도 했다. 하지만 금호타이어 인수 과정에서 자금 마련에 실패하며 박 전 회장은 그룹 재건의 꿈을 이루지 못했다.

여기에 지난해 아시아나항공의 기내식 대란에 이어 올해 감사보고서 한정 사태가 불거지며 재무 건전성 위기가 또 다시 부상했고, 결국 핵심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을 팔아서 그룹을 살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됐다.

재계 관계자는 “과거 대우건설과 대한통운 인수로 지나치게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되면서 그룹 전체가 위험에 빠지게 됐다”면서 “아시아나항공이 떨어져나가면 그룹 전체의 외형은 결국 중견기업 수준으로 축소될 수밖에 없다. 과거 무리한 사세 확장 등에 발목이 잡힌 셈”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