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바이오헬스 일자리 늘리고 AI 신약개발 육성
상태바
정부, 바이오헬스 일자리 늘리고 AI 신약개발 육성
  • 안지예 기자
  • 승인 2018.12.10 14: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건복지부,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 발표

[매일일보 안지예 기자] 정부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를 늘리는 동시에 인공지능 플랫폼을 개발해 신약개발 전 단계에 활용한다. 나아가 목표 건강수명도 지난 2015년 기준 73세에서 향후 76세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10일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9차 회의 심의를 거쳐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 기술로 누구나 건강한 사회 구현’을 비전으로 설정했다. 이를 통해 오는 2022년 목표 건강수명을 73세(2015년 기준)에서 76세로 높이고,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는 지난 2016년 기준 13만명에서 18만명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이번 발전전략의 5개 중점추진과제로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생산·관리 시범체계 운영 △AI 활용 신약개발 △스마트 임상시험 체계 구축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헬스케어 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 등을 꼽았다.

우선 이번 발전전략에는 300명의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생산·관리하고 AI를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세계적으로 고속 성장하고 있는 헬스케어 분야를 국내에서도 혁신성장의 동력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글로벌 정밀의료 시장은 오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연 15.2%, 헬스케어 AI 시장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 52.7%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정부는 오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일반인, 암 생존자 등 300명의 건강·의료·유전체 데이터를 추려 통합·분석하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을 추진한다. 참여자의 데이터를 생산·취합하고 분석한 뒤 이를 관련 기술 및 서비스 개발까지 활용해 헬스케어 빅데이터 활용 경험을 축적한다는 계획이다.

또 AI 활용을 통해 신약개발 기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등 신약개발 역량을 높인다. 이를 위해 신약 후보물질 도출, 전임상시험, 스마트 약물 감시 등 개발 전체 과정에 활용 가능한 단계별 AI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신약 개발 지원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한 스마트 임상시험 구축 사업도 진행된다. 차세대 임상시험관리시스템을 개발해 임상시험 센터별 각기 다른 시스템을 하나로 통일해 임상시험의 효율성 및 품질을 향상한다는 목표다.

또한 빅데이터, AI, 3D 프린팅 등 스마트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범부처 연구개발(R&D) 사업이 추진된다. 혁신의료기술을 잠재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별도 평가체계를 구축하고 체외진단기기 등 신의료에 대한 기술평가를 사후평가방식으로도 전환한다.

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역 바이오·헬스 클러스터와 지방거점 병원을 연계하고, 병원·기업 간 공동연구 확산을 위한 개방형 실험실(Field Lab) 구축도 지원할 예정이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기존에 없던 기술, 새로운 서비스 시장 등 헬스케어 산업의 지각이 변동하고 있다”며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통해 현재의 성장 추이를 가속하고 국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