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노조의 다른 모습… 자동차 산업 미래가 안 보인다
상태바
한·일 노조의 다른 모습… 자동차 산업 미래가 안 보인다
  • 성희헌 기자
  • 승인 2018.10.18 13: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내수·수출 부진…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 등 체감경기 최악
도요타, 2010년 사상 초유의 위기… ‘노사화합’ 통해 부활
국내 자동차산업이 대내외 악재로 침체되고 있으며, 극심한 노사갈등으로 위기감이 더해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매일일보 성희헌 기자] 국내 자동차 산업이 최대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내수와 수출의 동반 부진 속에 글로벌 통상환경 악화로 끝 모르게 추락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강성 노조는 변함 없는 기득권 지키기에만 혈안이 돼 있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노사가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하고 자동차 강국의 위상을 되찾은 일본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국내 완성차 업체의 생산(8.4%↓), 내수 판매(3.6%↓), 수출(9.3%↓)이 모두 감소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자동차업체의 4분기 경기전망지수가 전체 제조업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자동차산업 전반적인 위기는 ‘노사관계’로 방점을 찍고 있다.

일본 도요타는 2010년 사상 초유의 리콜 사태와 미국 내 생산중단 등 위기를 맞은 바 있다.  2년 연속 5조원이 넘는 적자를 내며 창사 이래 가장 큰 어려움을 겪은 것이다. 하지만 도요타는 3년도 안된 2012년 영업이익 1조엔을 넘겼으며, 2014년 세계 1위 자동차 메이커로 복귀했다. 이 같은 도요타의 부활에는 ‘노사화합’이 존재한다.

도요타 노조는 4년간 자발적으로 임금을 동결한 바 있으며, 1962년 무파업을 선언한 뒤 56년째 파업을 하지 않고 있다. 또 사측과 함께 생산성 향상과 공정혁신에도 힘을 모으고 있다. 이에 따라 도요타는 지난해 전년 동기 대비 36% 급증한 순이익(25조원)을 기록했다. 

반면 우리 노조는 한국 자동차산업의 최대 위기 속에서도 귀족노조의 모습을 유지하는 등 온도 차를 보이고 있다.

최근 한국지엠 노조는 연구개발 법인 분리에 반대하며 파업을 예고했다. 금속노조 한국지엠지부는 지난 16일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진행했으며, 78.2%가 찬성했다. 지난 5월 부도 직전인 한국지엠에 8100억원의 세금이 투입되는 등 경영정상화 추진 반년만에 극심한 노사갈등을 겪고 있는 것이다.

현대차는 7년 연속 파업을 기록하는 등 귀족·강성 노조의 이미지가 짙다. 최근에도 현대차는 최악의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나 노조는 수십억짜리 해외 연수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1조631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1% 급감했다. 현대차는 실적 하락 등 연수 취소를 요청했음에도 노조가 이를 수용하지 않은 상황이다.

쌍용차만 과거 극심했던 노사갈등에서 벗어나 내수에서 반등을 이루는 모습이다. 쌍용차는 지난해 내수 판매 10만6677대를 기록하며 14년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한 바 있다. 매년 진행되는 임단협도 9년 연속 무분규 타결했다. 최근 쌍용차 노사는 내년 상반기까지 2009년 해고됐던 119명을 전원 복직시키기로 합의했다.

국내 자동차산업은 높은 임금 대비 낮은 생산성으로 글로벌 경쟁력이 악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우리나라 1인당 노동생산성은 68달러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가운데 21위, 시간당 노동생산성은 32.9달러로 27위를 기록했다.

국내 완성차 5개사의 지난해 평균임금은 9072만원으로 일본 도요타 8344만원, 독일 폭스바겐 8487만원보다 높다. 자동차 1대 생산 시 투입시간은 26.8시간으로 도요타(24.1시간), GM(23.4시간)보다 많다.

이러는 사이 한국의 세계 자동차 순위는 2014년 5위에서 2016년 8위로 떨어졌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생산성 정체와 높은 인건비, 대립적 노사관계라는 삼중고를 겪고 있다”며 “대내외 악재로 침체된 자동차산업 위기속에서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이 구조조정 성패로 떠오르고 있다. 노사가 서로 협력해 선제적으로 기업 생산성을 높이고 비용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