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정책, 미래 먹거리에 초점…현장과 교육 연결돼야”
상태바
“일자리 정책, 미래 먹거리에 초점…현장과 교육 연결돼야”
  • 박효길 기자
  • 승인 2018.10.0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정책 변화 반기면서도 우려 목소리
정책 라인 변경 등 근본적 변화 필요
[매일일보 박효길 기자]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이 공공 중심에서 민간 주도로 바뀌면서 전문가들은 대체로 반기는 분위기다. 기업의 투자가 활성화하면 자연스롭게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민간 위험부담을 정부에서 덜어주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현장과 교육의 연결에 대한 구체화가 부족하다고 지적도 나온다.

지난 4일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SK하이닉스 청주공장에서 제8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기업, 업종별 단체 등을 통해 5개 산업 분야에서 140여개의 민간 투자 프로젝트(125조원 규모) 발굴하기로 했다. 민간의 투자프로젝트 이행을 통한 일자리 9만2000개, 정부 지원사업을 통한 일자리 1만5000개 등 2022년까지 10만7000개 창출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문제는 이런 정책이 현실로 이어지느냐다. 정부는 민간 중심의 고용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지만, 청년들의 공기업 선호 현상은 여전하다.

최근 한국경제연구원이 전국 4년제 대학 재학생과 졸업생 3294명의 ‘2018년 대학생 취업인식도 조사’한 결과를 이를 극명히 보여준다. 올해 대졸 신규채용 환경에 대해 ‘작년보다 어렵다’(41.1%), ‘작년과 비슷하다’(36.1%), ‘잘 모르겠다’(18.5%), ‘작년보다 좋다’(4.1%)로 고용 환경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더 높았다. 

또 대학생들이 취업하고 싶어 하는 곳도 ‘공사 등 공기업’(25.0%)이 가장 많았다. 이어 ‘대기업’(18.7%), ‘중견기업’(14.2%), ‘정부’(13.0%), ‘외국계기업’(7.7%), ‘중소기업’(6.6%), ‘금융기관’(3.5%) 순이었다. ‘공기업’에 대한 선호도(25.0%)는 지난해(25.8%)와 비슷했지만, ‘대기업’(18.7%) 선호도는 지난해(25.6%)보다 크게 낮아졌다.

한 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일자리 정책 발표는 자율주행차나 에너지저장 분야 등 앞으로의 먹거리에 대한 신기술 쪽”이라며 “민간에 리스크가 있는 부분에 대해 정부 지원을 해주겠다는 것은 긍정적인 부분인 거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기업들이 이 부분에 대해 얼마나 수요가 있는지 정합성이 부족하다”며 “대학에서 기업의 요구에 맞는 인재를 육성하는데 단기간에 되지 않는데 그것까지 다 연결이 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 변화가 또 다른 생색내기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일자리 정책의 변화를 위해서는 정책 라인의 변경부터 선행돼야 한다"며 "기존 틀을 놔둔채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성공할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담당업무 : 게임, 인터넷, IT서비스 등
좌우명 : 꼰대가 되지 말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