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 대북 사업 재개로 재도약 노린다
상태바
현대그룹, 대북 사업 재개로 재도약 노린다
  • 박주선 기자
  • 승인 2018.09.20 15: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정상, 금강산관광·개성공단 정상화 합의
7대 사업권 보유중인 현대그룹은 기대감 ‘최고조’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사진=현대그룹 제공

[매일일보 박주선 기자] 평양공동선언으로 현대그룹의 행보도 빨라질 전망이다. 지난 10년 동안 대북 사업이 중단되며 부침을 겪었던 현대그룹이 이번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정상화로 그룹의 재도약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그룹은 현재 금강산과 개성관광, 개성공단은 물론 7대 대북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권을 확보하고 있다.

1차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2000년 8월 북측으로부터 전력사업, 통신사업, 철도사업, 통천 비행장, 임진강댐, 금강산 수자원, 명승지 관광사업 등 7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권을 받은 현대그룹은 당시 사업권 대가로 5350억원을 지불했다.

최근에는 대북사업 재개에 대한 사전 작업에도 들어간 상태다. 현대그룹은 지난 4월 제 1차 남북정상회담이 성사되며 남북 경협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자 5월부터 남북경협사업 태스크포스팀(TFT)을 출범 시켰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등 기존 사업 정상화 뿐 아니라 현대가 보유한 북측 SOC 사업권을 기반으로 중장기적으로 남북경협사업을 확대 발전시키기 위해 철저히 대비해 나갈 것”이라는 입장이다. 현대그룹은 대북 사업이 재개될 경우, 다국적 컨소시엄 등 국내외 자본을 활용해 사업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대북 사업은 현대그룹의 숙원이다. 현대그룹은 1998년 6월 고 정주영 명예회장이 소떼를 몰고 방북하면서 그해 11월부터 금강산관광에 이어 개성공단 개발 등 20여년 동안 대북사업을 펼쳐왔다. 그러나 2008년 7월 관광객 피살사건 이후 지난 10년 간 사업을 중단했다.

현대그룹은 이로 인해 12조원 대 자산규모가 2조원 대로 급감하며 그룹 규모가 대폭 축소됐다. 작년 매출액은 1263억원으로 2007년 2555억원과 비교해 반 토막 났고, 직원 수도 1100여 명에서 현재 150여 명만 남은 상태다.

그러나 대북 사업이 재개 될 경우, 현대그룹의 상황은 180도 달라질 수 있다. 금강산 관광 재개시 연간 2500억원, 개성공단 재가동 시에는 연간 100억원의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그간 부침을 겪어온 그룹의 재도약 발판을 마련하게 되는 셈이다.

다만, 현대그룹의 대북 사업이 재개되기 위해서는 유엔의 대북제재가 우선 해제돼야 한다. 유엔 안보리가 지난해 9월 11일 ‘대북 제재 결의 2375호’에서 대북 투자 및 합작사업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기로 결의하면서 현재로선 북한에 자본을 투자하거나 물자를 직접 제공하는 사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남북정상이 공동선언문에 경제·관광공동 특구를 조성하는 것과 관련 ‘조건이 마련되는 데 따라’란 조건을 붙여놓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추후 미국과 북한 협상에서 비핵화 합의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재계 관계자는 “현대그룹이 대북제재가 풀리는 시점에 맞춰 바로 사업을 추진 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총 동원하고 있는 만큼, 올해 안에 사업 재개가 이뤄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