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업계 왜 이러나…리베이트 악재에 윤리경영 ‘무색’
상태바
제약업계 왜 이러나…리베이트 악재에 윤리경영 ‘무색’
  • 안지예 기자
  • 승인 2018.09.18 14: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근 광동제약 등 불법리베이트 의혹으로 세무조사
업계 불똥 튈까 우려…준법 시스템 강화에도 고질병 ‘여전’
제약업계가 최근 불거진 리베이트 등 악재가 끊이지 않고 있다. 사진은 서울시내 한 약국의 모습.(기사와는 무관). 사진=연합뉴스 제공.

[매일일보 안지예 기자] 제약업계에 불법 리베이트 악재가 잇따르면서 그동안 강조해온 윤리경영이 무색한 모습이다. 앞서 국내 제약사들은 ‘고질병’으로 불리는 리베이트 문제로 준법 시스템을 강화해왔지만 최근 또다시 논란이 발생하면서 이미지 쇄신 노력이 물거품이 될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광동제약은 최근 특정 광고회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백화점 상품권과 현금을 리베이트 명목으로 제공받았다는 의혹이 불거져 검찰 수사를 받았다. 검찰은 광동제약이 지난 2013년부터 3년간 특정 광고대행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상품권 등 대가를 돌려받는 수법으로 10억원 상당의 비자금을 조성했다고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한 조사를 받던 광동제약 전 임원은 조사 중 투신해 중상을 입기도 했다.

지난달 윤재승 전 회장의 폭언 논란으로 파문을 일으킨 대웅제약도 국세청 세무조사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정기세무조사 차원이라고 설명했지만 업계에서는 리베이트 연관성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타 제약사들은 불똥이 튈까 우려하고 있다. 특히 최근 여러 제약업체가 반부패경영시스템 ISO 37001 인증에 속도를 내고 있던 상황인 만큼 자정 노력에도 힘이 빠지게 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해 반부패경영시스템 ISO 37001을 도입한 바 있다.

해당 시스템은 162개국이 참여하는 ISO(국제표준화기구)가 지난 2016년 10월 제정한 반부패경영시스템으로, 정부기관과 비정부기구, 기업체 등 다양한 조직이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집행·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고안된 부패방지 국제표준이다. 인증 기업 모든 임직원에게는 부패방지·윤리경영을 위한 역할과 의무가 부여된다.

지난해 11월 한미약품을 시작으로 올해 3월 유한양행, 5월에는 GC녹십자가 해당 인증을 받았다. 코오롱제약, 대원제약, 일동제약, JW중외제약, 동아에스티 등도 합류하면서 지난 6월까지 8개사가 인증을 완료했다. 내년까지 종근당, 대웅제약 등 제약사 10여곳 이상이 추가로 인증을 획득할 것으로 보인다.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 기준도 강화했다. CP는 공정거래 관련 법규를 기업이 스스로 지키기 위해 운영하는 준법 시스템이다. CP는 각종 윤리경영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내부 제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CP를 도입한 22개 제약사 중 자발적으로 CP 운영 현황을 공시한 업체들의 경우 규정 위반자에 대해 엄정한 인사조치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제도에도 불구하고 리베이트 논란이 계속되면서 업계에서는 향후 더욱 몸을 사리는 분위기가 이어질 전망이다. 실제 추석을 앞두고 일부 제약사는 이해관계자와 오해의 소지가 있는 선물을 주고받지 않을 계획이다. 현대약품의 경우 임직원 간은 물론 거래처 및 협력업체 간에도 명절선물 일체를 주고받지 않도록 하는 캠페인을 펼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정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논란이 끊이지 않아 답답한 심정”이라며 “곧 연휴도 이어지면서 영업실적에 더욱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되지만 투명한 기업문화를 만들어야 한다는 분위기 형성의 계기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