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실업급여 평균 임금 60%로 기간도 늘릴 것”
상태바
김동연 “실업급여 평균 임금 60%로 기간도 늘릴 것”
  • 조현경 기자
  • 승인 2018.08.16 16: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로장려세제 지급액도 3배 확대

[매일일보 조현경 기자]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6일 7월 고용지표 발표(통계청 17일)를 앞두고 실업급여를 평균 임금의 60%로 늘리고 급여기간 연장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김 부총리는 이날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현장간담회에서 “실업급여가 현재는 평균 임금의 50% 수준에 지급 기간은 3∼8개월 수준”이라며 “이를 평균 임금의 60%로 늘리고 급여 기간을 늘리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업급여(지급액)를 1조2000억원 증액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김 부총리는 또 근로장려세제 지급액에 대해서도 “현행의 3배 정도로 늘리고 청년의 구직활동 촉진을 위한 수당을 신설하려고 한다”며 “취약계층에 대한 기타 수당도 신설해 고용 안정성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앞서 김 부총리는 이날 오전 국가재정포럼 기조연설에서 일자리와 관련 “새 정부가 일자리 정부를 표방했지만 일자리 문제는 지금 심각한 상황”이라며 “최근 2월 이후 몇 달 동안 일자리 증가율이 상당히 실망스러운 수준이라 재정 정책적으로 어떻게 뒷받침 해야 할지 고민스럽다”고 했다.

이어 김 부총리는 “당초 정부는 32만명의 일자리 추가 계획을 발표했었는데 최근 하반기 경제정책을 발표하면서 일자리 증가 전망치를 18만명 수준으로 줄였지만, 이 숫자도 많은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시장이 살아나야 달성할 수 있다”며 “현재 일자리 문제가 가장 심각하고 정부가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도 언론 인터뷰에서 ‘7월 고용지표’에 대해 “썩 좋지는 않을 것 같다. 일자리수석이 되고 두 번째 (발표인데) 나올 때마다 참 고민이 많다”며 “내년 초 정도 돼야 좋아질 것”이라고 했다.

한편 김 부총리는 일자리문제를 사회 구조적 문제로 보고,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 역동성을 불러일으키는 혁신성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 부총리는 “일자리 문제에 있어서 경기와 경제 사회의 구조적 문제, 국제 경제 등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주력 제조업이 앞으로 어느 정도 성장할 것이며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중장기적인 문제 의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향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의 변화에 따른 일자리 전개 방향에 대한 깊은 고민도 필요하다”며 “일자리는 이 같은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이 선행돼야 한다”고 했다.

이어 김 부총리는 “정부가 생태계조성, 핵심인제 약성 등에서 적극적인 기능을 해야 한다”며 “다만 세입 구조를 보면 내년까지는 탄탄한 세입 전망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후는 불확실성이 있으므로 세수여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에 따르면 내년 재정지출은 당초 예정한 5.7% 증가율에서 ‘2+α’%포인트 더 늘린다. 정확한 수준은 다음 주 정해질 예정이다. 이에 필요한 세수 확보는 내년까지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김 부총리는 “올해 상반기 국제수입이 19조원이 더 들어와 세수여건은 내년도에는 비교적 좋을 것”이라며 “세수여건 호조가 중기로도 계속될 것인가는 조금 검토가 필요하지만, 중기재정은 현재 상황에서 보면 세수가 5년 동안 당초 계획보다 60조원 이상이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