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 특집]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AI한의사 아파트 건설로부터
상태바
[스마트시티 특집]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AI한의사 아파트 건설로부터
  • 백남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연구센터장
  • 승인 2018.06.26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남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시티연구센터 센터장·연구위원

건설 산업은 한국 경제성장의 한 축을 견인해 왔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다. 그 누구도 부인하기 어려운 이 사실에 먹구름이 드리워져 있다. 건설투자 침체 등이 이어지면서 매년 위축돼가고 있는 국내 건설 산업계. 밝게 비춰줄 강력한 햇빛이 필요하다.

스마트시티, 최근 글로벌 건설 시장에 떠오르고 있는 샛별이다. 국내 건설 산업계에서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보고 있는 것 같다. 스마트시티와 맞물려 미래 건설 산업이 나갈 방향을 찾는 국제컨퍼런스가 일주일이 멀다하고 서울과 부산 등에서 연달아 개최된다. 이러한 국제컨퍼런스마다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경우도 있고, 시대의 통찰력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키노트 스피킹도 있다.

이 중에서도 최근 발표된 한승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원장의 키노트 스피킹은 구체적 사례와 함께 관련 업계에 주목을 받고 있다. 한 원장은 “스마트한 도로인프라가 구현돼야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스마트한 아파트가 건설돼야 스마트헬스 서비스도 구현된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AI) 한의사가 함께 사는 아파트가 건설될 수 있다고 한다. 고령화, 환경보건, 교통정체와 모빌리티 안전, 지방도시 공동화 현상 등 당면한 도시문제들은 의료복지서비스 등의 물리적 서비스시설의 근접성 부족에 기인한다.

AI한의사 아파트는 종합병원이 없는 한적한 농촌에서도 대도시 종합병원과 같은 진단과 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 지금 우리는 4차산업혁명기술이 한적한 농촌마을이나 면소재지의 아파트에서도 시작되는 ‘전환의 시대’에 서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헬스 IoT(사물인터넷) 인프라, 빅데이터 분석 및 서비스제공기술이 필요하다. 먼저 AI아파트에 사는 거주자들의 건강상태를 수집할 수 있는 IoT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대 초반 CCTV카메라를 활용해 고령자들의 거주지에 스마트헬스서비스가 시험된 바 있다. 그러나 고령자들은 ‘받는 서비스보다 감시받는 불편함’을 호소했다. 더불어 프라이버시 문제가 제기돼 실용화되지 못했다. 앞으로 건설될 AI한의사 아파트의 IoT인프라는 그러한 불편과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소하면서 시민들의 서비스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두번째는 AI한의사 아파트의 정보가 빅데이터로 분석되고 축적될 수 있어야 한다. 2010년대 초반처럼 서비스마다 별도의 센터 서버를 만들어 두는 개념이라면, 구축과 운영관리 비용이 과다해 오래가지 못하는 서비스가 될 것이다. 

대구정부통합전산센터와 같은 데이터센터를 활용하면 초기구축과 운영비뿐만 아니라 프라이버시문제도 잠재울 수 있다. 이러한 클라우딩 컴퓨팅이 도입되면 스마트헬스 데이터가 축적돼 사상의학 체질과 질병 그리고 섭생의 관계 등을 빅데이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세번째는 시민들이 피부로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한국 정부는 스마트시티 이전에 유비쿼터스시티를 표방한 바 있다. 유비쿼터스시티 법제도는 스타트도시법으로 대체됐지만 유비쿼터스 개념은 현재에도 유효하며 미래에도 살아있을 것이다.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수시(隨時)로 수지(隨地)로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즉 이용자가 필요한 시점과 공간에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이를 위해서 AI한의사아파트 서비스는 도시의 주요거점으로 연결돼야 한다. 예를 들어 AI아파트 거주자들이 외출해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릴 때도 스마트헬스 서비스는 끊임없이 제공돼야 한다.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는 119서비스와 의료시스템이 가동돼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 정부에서는 4차산업혁명의 체감서비스를 스마트시티로 보고 있다. 스마트시티가 AI한의사 아파트와 융합돼 건설될 때 시민들이 서비스 혜택을 체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