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10년만에 2%대 진입…고심 깊어지는 이주열
상태바
[美 금리인상] 10년만에 2%대 진입…고심 깊어지는 이주열
  • 박수진 기자
  • 승인 2018.06.14 14: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韓美 금리 격차 0.5%포인트로 확대…外人 자금이탈 여부·한은 인상 시기 주목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으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박수진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3일(현지시간) 기준금리인 연방기금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서 한·미간 기준금리 격차는 0.5%포인트로 확대됐다. 

이에 따라 미 기준금리는 기존 1.50~1.75%에서 1.75~2.0%로 올랐다. 미국에서 기준금리 2% 시대가 열린 건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10년 만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벌어진 한미 금리 격차에 외국인 투자자금의 이탈 여부는 물론 올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한은이 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동결하고 오는 10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미국이 올해 1~2차례 금리를 더 인상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한미 금리역전 상태 등을 감안 시 금리 인상을 마냥 미룰 수만은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한미간 금리 격차가 벌어진 상황에서 내달 한은이 동결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는 데는 최근 발표된 생산, 투자 지표가 부진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3개월 연속 취업자 증가 수 역시 10만명 수준에 그치는 등 경제 지표의 약한 모습 또한 한은의 통화 긴축 움직임에 발목을 잡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월 취업자 수는 지난해 4월보다 12만3000명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석 달 연속 취업자 증가수가 10만명대 초반에 그쳤다. 취업자 증가 수가 석달 이상 10만명대에 그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9월~2010년 2월(18개월) 이후 처음이다. 

생산과 투자 지표도 심각하다. 지난 3월 중 전(全) 산업생산은 전달보다 1.2%, 설비투자는 7.8% 줄었다. 공장 가동률은 전달보다 1.8%포인트 떨어진 70.3%로 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팔리지 않는 물건이 공장에 쌓이면서 제조업 재고율(출하량 대비 재고량 비율)은 114.2%로 외환위기 이후인 1998년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처럼 실물 경제 상황을 보여주는 생산, 투자, 고용 지표가 개선되지 않을 시 한은은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할 수밖에 없다. 이럴 경우 기준금리 추가 인상 시점 역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

이주열 한은 총재 역시 내외 금리 역전 폭 확대에 따른 자본유출 가능성에 “1∼2번 금리 인상으로 자본유출이 촉발되지 않을 것”이라며 “자본유출을 결정하는 다른 요소가 많다”고 밝혀 당장의 금리 인상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한은이 국내 경기 부양을 위해 마냥 기준금리를 잡아둘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한·미간 기준금리 차이 확대는 우리나라 채권 수요를 약화시켜 시중금리의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무엇보다 글로벌 통상마찰 등으로 환율 불안이 확대될 경우 안전자산 선호와 금리역전이 맞물려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역시 피할 수 없다. 

지난달 11일 국회 예산정책처가 발표한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경제여건과 유사한 2005년 8월~2007년 8월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한·미간 기준금리 역전이 확대되자 외국인 투자 자금 이탈이 증가되고 주가도 하락했다. 

특히 2006년 5월~7월 한미간 기준금리차가 100bp로 확대된 이후 5월 한 달간 외국인 투자자금은 4조7000억원 유출됐다. 5월부터 석 달간 외국인 투자자의 누적 순매도액은 8조2000억원으로 월 평균 2조7000억원이 유출됐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는 8.6% 하락했고 국고채 3년물 금리는 4.8% 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보고서는 “과거 사례를 고려할 때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단기 영향은 크지 않겠지만 한·미 기준금리간 역전이 확대될 경우 외국인 자본 유출 등 국내 금융시장내 불안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며 “한·미간 기준금리 역전 확대는 외국인 투자자금 이탈 및 주식시장에 대한 하락압력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이유로 시장에서는 다음달에 열리는 한은 금통위에 향후 기준금리 인상을 예측할 수 있는 시그널을 줄지 관심이 쏠린다. 

앞서 지난달 열린 금통위 회의에서 한 금통위원은 “통화정책의 완화정도를 축소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보다 먼 시계에서 경기국면 전환 가능성에 대비해 통화정책의 운용 여력을 확보해 두는 차원에서도 성장세가 견실한 시기에 기준금리를 적정 수준으로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