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평균 7억원… 1년 만에 1억원 올라
상태바
서울 집값 평균 7억원… 1년 만에 1억원 올라
  • 이동욱 기자
  • 승인 2018.05.14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구 소득은 1.5% 올랐는데
집값 19%, 분양가 7.4% 올라
문재인정부 출범 1년 동안 서울 아파트값 평균이 1억원 넘게 올라 7억원을 뛰어넘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매일일보 이동욱 기자] 문재인 정부 출범 1년 동안 서울에 사는 무주택자의 ‘내 집 마련’이 더 힘들어졌다.

14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서울 아파트값은 3.3㎡당 평균 2766만원으로 1년 만에 19.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값 평균은 6억708만원에서 7억2166만원으로 1억원 넘게 올랐다. 

지난해 5월 출범한 문재인정부가 ‘집값 안정화’를 내세운 것과는 정반대다.

정부 규제로 투기과열지구인 서울에서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이 최대 70%에서 40%로 낮아져 대출 문턱이 높아진 가운데 금리마저 올랐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지난해 5월 3.26%에서 올 3월 3.45%로 올랐다.

이에 비해 소득 증가 폭은 미미하다. 통계청 조사 결과, 도시근로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3인 가구 기준)은 2016년 약 493만원에서 지난해 약 500만원으로 1.5% 느는 데 그쳤다. 이런 흐름은 가구소득 대비 집값 비율을 나타내는 PIR(가구소득 대비 집값) 지표로도 확인된다.   

서울의 PIR은 2017년 5월 10.9에서 같은 해 12월 11.5로 7월부터 5개월동안 연속 상승했다. 2010년 6월 이후 최고치다. 한 가구가 한 푼도 쓰지 않고 11년 넘게 수입을 모아야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

올해 들어서도 서울 집값이 상승세를 탄 점을 고려하면 실제 PIR은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집값 상승과 함께 아파트 분양가도 올랐다. 분양보증 기관인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가격을 통제하고 있지만 분양가 상승세는 여전하다.

이렇게 내집 마련 여건이 나빠졌음에도 수요는 늘었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7년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82.8%는 ‘내집 마련이 꼭 필요하다’고 답해 1년 전보다 0.8%포인트 높아졌다. 

전국적으로는 주택 공급과잉이 심각하지만 서울은 공급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대학원 교수는 “소득 대비 집값이 많이 오른 만큼 서울에 저렴한 주택을 늘리는 공급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