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정품’ 명칭, 공식명칭으로 사용해도 되는가?
상태바
‘순정품’ 명칭, 공식명칭으로 사용해도 되는가?
  • 매일일보
  • 승인 2018.01.23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필수 자동차연구소 소장/ 대림대학교 교수

[매일일보 기자] 노후화된 자동차에 새로운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배보다 배꼽이 큰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즉 100만원짜리 자동차에 200만원짜리 단순 자동차 부품을 교체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신제품과 비교하여 품질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을 경우 가격이 저렴한 공식 인증된 부품을 사용하면 당연히 당사자에게 이득은 물론 부품 재활용 측면에서 일석 삼조의 효과가 있다. 선진국에서는 대체품이라고 해 접촉사고 시 많이 교체하는 부품의 경우 중소기업에서 생산된 저렴하면서도 인증된 대체품이 많이 사용된다. 선진시장인 미국이나 유럽은 자동차 사고 이후 수리부품으로 대체품을 전체 부품 대비 약 30~40% 정도를 사용한다.

우리나라도 4년 전 입법절차를 거쳐 관련 대체부품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개점 휴업상태나 다름없다. 소비자가 보험 사고 처리시 신품만을 고집하거나 메이커 및 수입사 등에서 디자인 등록을 해 중소기업에서 같은 부품을 생산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또 한 가지 자동차 부품에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되는 이유는 신품을 제외하고 모든 자동차 부품이 B품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인식의 중심이 되는 대표적인 명칭이 바로 일명 ‘순정품’이다. 굳이 순정품을 정의하면 제작 단계에서 양산차에 들어가는 부품을 언급하는 회사의 브랜드명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계속되는 홍보 속에 이 명칭 자체가 유일하게 순수한 정품의 의미를 나타내면서 잘못된 정보를 소비자에게 혼동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양산차에 장착되는 부품은 최고의 부품도 아니고 어느 정도 견딜 수 있게 만든 부품이다.

문제는 순정품이라는 브랜드명을 일상적으로 최고의 부품으로 판단하고 이를 그대로 수용하는 태도다. 순정품이라는 명칭이 각종 매스컴에 걸러지지 않고 사용되다보니 상대적인 명칭인 ‘비순정품’은 나쁜 부품으로 인식하는 이분법적 세뇌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다보니 소비자가 아예 외면하고 사용하지 않게 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순정품 명칭에는 일반적으로 ‘OEM부품’이나 ‘정품’ 또는 ‘규격품’ 등 다양한 용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회사의 브랜드명을 사용하다보니 문제의 소지가 크다.

최근에는 국토교통부가 자동차 튜닝 관련법을 제정하면서 법적인 명칭으로 순정품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오류를 저지르기 시작했다. 대체품 문제도 국토교통부에서 진행하고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으면서도 같은 부처의 다른 한쪽에서는 순정품 명칭을 여과 없이 법적으로 사용하는 이율배반적인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굳이 ‘순정품’ 명칭을 법적으로 사용하려면 ‘초순정품’, ‘순정품’, ‘정품’, ‘대체품’, ‘재활용품’ 등의 인증부품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편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왜곡 현상은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독일식 히든 챔피언인 강소기업 육성에도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판단된다. 강소기업형 자동차 부품 기업 활성화는 대기업 중심의 자동차 메이커와 상생 개념으로 발전하면서 진정한 선진국형 자동차 국가로 발전하는 토대라는 것을 확실히 인지해야 한다.

이제 순정품이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글로벌하게 통용되는 부품명을 사용하여 다양한 부품군을 형성해 소비자가 선택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기이다. 정부에서도 제대로 인지해 중소기업형 자동차 부품 활성화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