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정부 블루오션 할랄, ‘유명무실’ 왜?
상태바
朴 정부 블루오션 할랄, ‘유명무실’ 왜?
  • 박동준 기자
  • 승인 2017.07.25 15:57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근혜 정부 중동 붐 타고 업체 앞다퉈 진출
글로벌 스탠다드 부재로 국가별 인증에 난항
지난 20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할랄 수출 상담회'에서 한 외국인이 전시 상품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매일일보 박동준 기자] 박근혜 정부가 ‘제2의 중동붐’을 일으키겠다며 주도적으로 앞장선 ‘할랄(Halal)’ 산업이 현재는 유명무실한 상태로 전락했다.

할랄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이란 의미다. 할랄 인증 제품은 이슬람 율법 내에서 무슬림이 먹고 쓸 수 있는 모든 제품을 통칭한다. 이슬람 방식으로 도살되지 않은 고기는 돼지고기가 아닐지라도 먹을 수 없다.

무슬림 인구는 현재 18억명으로 추정된다. 지난 2014년 기준 전세계 인구의 28.3%를 기록하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지만 다산을 미덕으로 하는 문화 덕분에 무슬림 인구는 지속적으로 늘어 2025년에는 30% 선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 시장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식품 시장만 따져봐도 지난 2012년 1조880억달러 규모에서 오는 2018년에는 1조626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박근혜 정부는 지난 2015년 중동 순방을 기점으로 대대적으로 할랄 산업 전파에 나섰다. 중동 국가들과 할랄식품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내에는 할랄 도축장을 포함한 국가식품클러스터 내 할랄 단지 조성 등을 추진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도해 민관 협의체 ‘할랄분과위원회’를 구성해 기업들의 무슬림 진출을 독려했다.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에 민간 기업들도 동참했다. 할랄 인증을 받고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과 같은 동남아시아 지역과 중동 지역에 식품 수출을 타진했다.

하지만 2년이 지난 현재 관련 산업은 답보 상태다. 정부 육성책은 종교계를 중심으로 반발에 부딪혀 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받은 KMF(한국이슬람교중앙회, Korea Muslim Federation) 할랄 인증은 일부 국가에서만 통용될 뿐 나머지 지역에서는 추가 인증을 받아야 했다.

지난달 인도네시아 정부가 판매를 금지시킨 한국 라면이 대표적인 사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해당 제품들에서 돼지 DNA가 검출됐다는 것이다. 하지만 관련 업체들은 제조과정에서 돼지고기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가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할랄 인증제도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개별 국가들이 자국의 인증 제도를 표준화하려는 과정에서 생긴 알력 다툼이란 것이다.

앞서 농심의 경우 지난 2015년에도 인도네시아서 비슷한 사례를 경험했다. 당시 KMF 인증을 받고 현지에 수출했지만 인도네시아 정부가 자국의 인증을 받지 않아 할랄 제품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한 것이다. 이에 농심은 제품을 교민 시장에만 유통하는 방식으로 전환했다.

현재 무슬림 국가들은 각각 별도 인증 체제를 갖추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 LPPOM-MUI, 말레이시아 JAKIM, 싱가포르 MUIS 등 전 세계적으로 200여개 이상의 할랄 인증을 가지고 있다. 난립된 인증 제도 때문에 국내에서 피해도 속출하고 있다. 한 업체는 지난해부터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사업을 자체적으로 진행한다고 한 이후 기업들에게 접근해, 인증 관련 비용만 챙겨 잠적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 식품 업체들의 할랄 수출 실적은 미미한 상태다. 국내에서 통용되는 KMF는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말레이시아 등지에서만 인정받고 있다. 전체 인구 2억6000만명 중 90% 이상이 무슬림인 인도네시아는 따로 인증을 받아야 해 진출한 기업이 거의 없다.

실제로 CJ제일제당은 지난 2013년부터 할랄 산업에 뛰어들었다. 햇반과 조미김, 김치 등 3개 품목 46개 제품을 수출하고 있지만 수출액은 지난해 기준 30억원에 지나지 않는다. 시장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만 유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상은 2013년에 인도네시아 MUI 할랄 인증을 받고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다만 수출액은 2015년 기준 50억원에 지나지 않는다. 회사 측은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의 할랄 제품 매출액이 300억원에 달하며 인도네시아 전용 브랜드를 론칭하는 등 현지 시장을 공략중이라고 전했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박근혜 정부가 할랄 정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개별 업체들은 정부 정책에 호응하는 방식으로 접근했을 뿐 당시에도 이를 신성장동력으로 생각하고 나선 기업들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분노국민 2017-07-25 21:30:29
훌륭한 기사. 당장 국민혈세로 특정 종교 지원하는 만행 중단해야. 그리고 기사로 할랄이 대세라는둥 보수 기독교단체가 반대한다고 욕하던 기자들도 다 조사해서 오일머니 먹은자들은 잘라라. 동남아 수출하고 싶음 현지기업 인수해서 현지인
고용해서 진행하던지 해야지 왜 무슬림을 한국에 들이고 게다가 잔학한 도축장까지 부여 백제땅에
들인다고 아직도 미련 못 버리고. 대학가와
한국의 관광지까지 할랄식당 만들어야 한다고 비싼 소고기 못 사먹고 싼 돼지비계 먹어가며 늦게까지 일하는 국민 개돼지 가르치려 든 기자들도 반성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