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로 인한 은퇴가구 소비절벽 발생 가능성 낮아”
상태바
“가계부채로 인한 은퇴가구 소비절벽 발생 가능성 낮아”
  • 이한듬 기자
  • 승인 2017.07.03 09: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연 보고서…“은퇴, 소비규모보다 소비패턴 변화 야기”

[매일일보 이한듬 기자] 가계부채로 인한 은퇴 전후 가구의 소비절벽 발생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3일 ‘은퇴 전후 고령세대의 자산·부채로 살펴본 한국의 소비절벽 실현가능성’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가계부채로 인해 소비절벽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한경연은 “분석결과 부채 증가를 통한 자산증식효과가 더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부채 보유나 부채 규모가 직접적으로 유동성 제약을 야기해 소비규모를 위축시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은퇴를 앞둔 연령대인 55세 이상 가구주가 속한 가구를 대상으로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소득과 소비, 저축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은 2001년 대비 2015년 94.51% 상승하고 소비는 90.51% 늘었다.

한경연은 “같은 기간 저축이 78.32% 상승한 것으로 보아 결국 소득 증가분이 자산 축적으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소득대비 소비비율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소득이 대폭 감소하면서 증가했지만 이후에는 꾸준한 감소세를 보였다.

또 자산규모를 보면 2001년 대비 2015년 거주주택자산과 거주외주택자산은 각각 157.35%, 126.44% 증가했다.

하지만 금융자산의 경우 증가율이 98.3%에 불과해 부동산으로의 자금 유입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는 꾸준히 증가해 2001년 대비 2015년 약 133.98%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부채 상환액은 2015년의 경우 2001년보다 금액 자체는 늘었지만 시계열적 추이를 보면 변동성이 커, 금융위기 이전과 현재의 상환액 수준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은퇴여부에 따른 소비규모 변화에 있어서는 은퇴 자체가 소비를 크게 위축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의 연령이 은퇴를 앞둔 55세 이상인 가구의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소득과 소비구조를 분석한 결과 은퇴 자체가 소비를 크게 위축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았고, 소비규모보다 소비지출 패턴의 변화를 야기했다.

분석에 따르면 자산효과에 의해 은퇴 이후 자산규모가 더욱 많아지면서 은퇴 전까지 지출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자녀교육과 노후 대비 연금·보험 지출이 줄어들고 여가생활과 건강관리 분야로 소비가 이동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부채가 은퇴가구와 비은퇴가구의 노동공급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은퇴 가구의 경우 부채보유나 규모와 노동공급 결정 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원일 유안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특히 은퇴가구의 경우 가구주연령이 낮아질수록 노동공급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육체적인 건강이 보장될수록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것으로 해석되므로 은퇴 후 노동시장 재진입은 자산과 부채규모에 기인한다기보다 선호에 의한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비은퇴 가구는 부채규모와 노동공급이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 이코노미스트는 “은퇴 전 가구의 노동시장 진입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는 측면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