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수주 절벽’ 팔 걷어붙인 정부, 국가 차원 ‘총력전’
상태바
‘해외수주 절벽’ 팔 걷어붙인 정부, 국가 차원 ‘총력전’
  • 김보배 기자
  • 승인 2017.01.15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고용·사업 발굴·사후관리’ 전방위 지원 확대
한화건설이 시공 중인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전경.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김보배 기자] 정부가 해외 건설사업 활성화를 위해 해외건설 수주 대사를 임명하고 사업 발굴부터 개발, 협상, 시공, 관리까지 전 방위적인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지난해 국내 건설사들의 해외수주 규모가 급감한데 따른 특단의 조치로 풀이된다.

15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외교부는 국토부와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과 함께 건설외교를 지원하는 대외직명대사를 임명해 운영할 계획이다.

지난 1984년 ‘정부대표 및 특별사절의 임명과 권한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면서 만들어진 대외직명대사는 무보수에다 민간인 신분이지만 외교부 장관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명예직이다. 임기는 1년으로, 우리 정부 대표로 국제회의에 참석하는 등 정부의 외교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과거 이명박 정부 때 자원외교를 돕기 위해 ‘에너지 대사’가 임명된 경우는 있지만 해외건설 수주를 돕는 대외직명대사는 없었다.

대외직명대사에는 장차관 출신이나 전직 대사 등 해외수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고위급 인사가 추천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국토부 등의 추천을 취합해 선발 인원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국가별 경제발전공유사업(KSP) 수석고문, 명예영사 등을 포함한 인적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 올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해외 건설수주 체질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지금까지는 건설사들이 해외 정부가 발주하는 공사에 입찰, 공사를 맡아 준공하면 손을 터는 식이었다. 이에 건설사간 저가수주 경쟁이 벌어지면서 실적 부진으로 이어졌다.

실제 해외건설 수주액은 2014년 660억 달러에서 2015년 461억 달러, 지난해 282억 달러로 계속 줄고 있다.

정부는 최근 글로벌 건설 산업의 트렌드로 떠오른 해외민관협력(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사업을 대안으로 주목하고 있다.

PPP는 민간이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민간 사업자가 기획부터 개발, 건설을 한 뒤 운영까지 하면서 수익을 회수하는 구조다.

최근 중동 등 신흥국뿐만 아니라 캐나다, 호주 등 선진국에서도 PPP 사업이 활기를 띠고 있다. 신흥국 PPP 시장 규모는 2005년 403억 달러에서 2015년 1199억 달러로 3배가량 증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도 1조 달러 규모의 PPP 사업으로 낡은 인프라를 개선하겠다고 한 바 있다.

정부는 건설사들이 PPP 사업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사업 발굴부터 시공, 사후관리까지 ‘패키지’로 지원하는 전담 기구를 오는 6월까지 구성할 계획이다. 국내 건설사들을 미국의 벡텔과 스페인 ACS그룹, 프랑스 방시 등과 같은 종합건설사로 키우겠다는 복안이다.

지원기구는 해외건설 지원특화펀드인 글로벌인프라펀드(GIF)의 400억 원대 수익증권 및 공공·민간 출자분 등을 토대로 설립된다.

이와 함께 1000억 원 규모의 글로벌인프라벤처펀드를 조성, 우리 건설사들의 해외 사업 진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초기 개발단계 자금을 지원하는 벤처펀드와 사업화 단계를 책임지는 글로벌 시행사를 갖추면 해외진출을 위한 정책 패키지를 모두 갖추게 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