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제7대 임금, 세조와 정희왕후 묻힌곳 "광릉(光陵)"
상태바
조선 제7대 임금, 세조와 정희왕후 묻힌곳 "광릉(光陵)"
  • 김종혁 기자
  • 승인 2016.07.18 08: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묻힌 뒤 속히 썩어야 하니 석실과 석곽 병풍석 세우지 말라" 세조 유언
본래 동래정씨 묘자리에 세조 능침조성, 풍수지리가 좋아 이씨조선 5백년 이엇다는 말도 나돌아
세조와 정희왕후 능침은 동원이강릉 형식이다 하나의 정자각 뒤로 왼쪽이 세조, 오른쪽이 정희왕후 능침이다 사진=문화재청

[매일일보] 조선 제7대 세조임금과 세조비 정희왕후의 능침은 경기도 광릉 수목원내 울창한 수림 가운데 언덕에 조성돼 있다.

능의 구성

광릉은 조선 7대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능이다. 광릉은 같은 산줄기에 좌우 언덕을 달리해 왕과 왕비를 각각 따로 모시고, 능 중간 지점에 하나의 정자각을 세우는 형식인 동원이강릉(同園異岡陵)의 형태로, 이런 모습의 능으로 최초로 조성됐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봤을 때 왼쪽 언덕이 세조, 오른쪽 언덕이 정희왕후의 능이다.

세조는 “내가 죽으면 속히 썩어야 하니 석실과 석곽을 사용하지 말 것이며, 병풍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명을 남겼다.

이러한 세조의 유언에 따라 이전까지 석실로 되어 있던 능을 회격(灰隔)으로 바꾸어 부역 인원을 반으로 줄이고 비용을 절감했다.

봉분 주위에 둘렀던 병풍석을 생략하면서 병풍석에 새겼던 십이지신상은 난간석의 동자석주에 옮겨 새겨 상설 제도를 개혁했다.
능침아래에는 정자각, 비각, 홍살문 등이 배치돼 있으며, 향로와 어로는 유실됐다. 본래 정자각은 세조의 능역 앞에 있었으나, 정희왕후의 능을 조성하면서 두 능의 사이로 옮겨 지은 것이다.

능의 역사

광릉 세조 능침

 1468년(예종 즉위년)에 세조가 수강궁 정침에서 52세로 세상을 떠나, 같은 해 주엽산 아래에 광릉을 조성했다.

본래 이 자리는 동래정씨 정창손의 선대묘역이 있던 자리였으나, 광릉이 조성되면서 동래정씨 묘역은 다른 곳으로 이장됐다.

세조의 광릉 자리가 좋아 조선 500여 년을 세조의 후손들이 통치했다고 하는 일부 풍수가들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 후 1483년(성종 14)에 세조의 왕비 정희왕후 윤씨가 온양 행궁에서 66세로 세상을 떠나, 같은 해에 광릉 동쪽 언덕에 능을 조성했다.

세조(世祖) 이야기

광릉 세조 무석인

세조(1417~ 1468)는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둘째 아들로 1417년(태종 17년)에 사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세종이 즉위하자 1428년에 진평대군에 책봉됐고, 그 후 함평대군, 진양대군을 거쳐 1445년(세종 27년)에 수양대군에 봉해졌다.

대군 시절에 타고난 자질이 영특하고 명민하여 학문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무예에도 뛰어났다고 전한다.

또 세종의 명을 받아 불교 서적 번역을 관장하고, 향악의 악보 정리에도 힘을 쏟았다. 문종이 즉위 한 후에는 관습도감 도제조에 임명되어 국가의 실무를 맡아보기도 했다.

단종 즉위 후 추락한 왕실의 권위를 되찾고자 권람, 한명회 등과 결탁하여 1453년(단종 1년)에 계유정난을 일으켜 조정을 장악하고, 2년 뒤인 1455년에 단종의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왕위에 오른 후 왕권 강화를 위해 의정부 서사제를 폐지하고 전제왕권제에 가까운 육조직계제를 단행했으며, 집현전을 폐지하고 경연을 없앴다.

왕명 출납 기능이 있는 승정원을 강화시키고 호패법을 복원했으며 군제를 정비했다. 하지만 즉위 초에 여러 차례의 단종복위 운동으로 사육신 등과 수많은 정적들을 제거했고, 상왕 단종을 폐위시켜 강원도 영월에 유배후 죽게 했다.

만년에는 왕위찬탈에 대한 뉘우침으로 불교에 귀의해 원각사를 창건했다. 그 후 1468년(예종 즉위년)에 왕세자 예종에게 선위한 후 하루 뒤에 수강궁 정침에서 52세로 세상을 떠났다.

광릉 정희왕후 능침

정희왕후(貞熹王后) 성종 임금 만들고 수렴청정 펼친 이야기

정희왕후 윤씨(1418~ 1483)는 본관이 파평인 파평부원군 윤번과 흥녕부대부인 이씨의 딸로 1418년(세종 즉위년)에 홍천 공아에서 태어났다.

1428년(세종 10년)에 진평(수양)대군과 혼인해 낙랑부대부인에 봉해졌으며, 1455년에 세조가 즉위하자 왕비로 책봉됐다.

광릉 정희왕후 무석인

예종이 즉위한 후 왕태비가 됐으며, 내지(內旨)를 내려 간접적으로 정치에 참여했다.

예종이 재위 1년 2개월만에 세상을 떠났는데, 당시 선왕이 후사에 대한 유명이 없을 경우에는 그 권한은 대비가 하게 돼 있었다.

정희왕후는 이 권한을 통해 일찍 죽은 첫째아들 의경세자의 둘째아들인 자산군(성종)을 왕으로 지목하여 즉위하게 했다. 그리고 성종이 12살의 나이로 즉위하자 조선왕조 최초로 수렴청정을 실시했다.

수렴청정 기간 동안에 성종을 적극적으로 후원해 성종의 태평치세의 발판을 닦아줬고, 7년 후 수렴청정을 거뒀다. 그 후 왕실의 어른으로 생활하다 1483년(성종 14년)에 온양 행궁에서 66세로 세상을 떠났다.

광릉 정희왕후 난간석

조선 선조 대의 이조판서 이기가 쓴  문집 '송와잡설(松窩雜說)'에는 정희왕후 윤씨가 수양대군의 부인이 된 일화가 수록돼 있다.

세종대에 수양대군의 부인을 간택하기 위하여 궁궐의 감찰 상궁과 보모상궁이 윤번의 집으로 찾아갔는데, 사실 이때 후보자는 정희왕후의 언니였다고 한다. 그런데 궁중에서 사람이 나왔다는 말에 정희왕후가 어머니 이씨 뒤에 숨어서 어른들 이야기를 듣다가 감찰상궁의 눈에 띄고 만 것이다.

언니보다 정희왕후의 자태가 더 비범하다고 대궐에 알려지면서 그녀는 언니 대신 수양대군의 부인으로 간택되고, 낙랑부대부인으로 봉해졌다.

그 후 계유정난 당시에 사전 정보가 누설되어 수양대군이 거사를 망설이자 손수 갑옷을 입혀 그에게 용병을 결행하게 할 만큼 결단력이 강한 여장부였다고 전해진다.<자료 사진출처=문화재청,조선왕릉관리소>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