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대우조선해양 낙하산 인사 ‘덫’에 걸리다
상태바
[기자수첩] 대우조선해양 낙하산 인사 ‘덫’에 걸리다
  • 최수진 기자
  • 승인 2015.09.23 14:27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산업부 최수진 기자.

[매일일보 최수진 기자] 3조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한 대우조선해양의 경영 부실 책임을 놓고 올해 국정감사장은 뜨거웠다. 여야 의원들은 산업은행, 대우조선해양 전·현직 임원, 회계법인 등을 호통 치며 3조원의 부실 책임을 물었다.

최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 및 대우조선해양 전·현직 임원의 관리·감독책임 부실, 회계법인의 분식회계 등이 지적됐으나, 이들은 하나 같이 3조원의 부실에 대해 ‘잘 모른다’는 답변을 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조선 산업이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지난해에도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해양플랜트에서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대우조선해양의 어려움이 시기적으로 이해는 가지만, 지난해와 올해 실적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고재호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연임을 위해 일부러 실적을 숨겼다는 의혹도, 산업은행의 관리 부실도 대우조선해양의 3조원대 경영 위기를 초래한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가장 문제적 요인은 낙하산 인사다.

지난 2008년부터 대우조선해양에 임명된 사외이사는 18명으로 이명박 정부 시절 11명, 현 정부 5명이 낙하산 인사로 분류된다. 더군다나 이들은 조선 산업에 대한 이렇다 할 전문성도 갖추지 않은 상태에서 국내 조선 산업을 이끄는 대형 조선사의 사외이사로 임명된 것이다.

김열중 대우조선해양 CFO도 산업은행을 퇴직하자마자 바로 대우조선해양에 취업했지만 제대로 부실을 파악하지 못했다.

해양플랜트의 공정 지연이나 발주 감소 등은 현 상황에서 해양플랜트 사업 중 어쩔 수 없이 이뤄지고 있는 세계적 흐름이다. 현대중공업도 삼성중공업도 해양플랜트의 적자 늪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그러나 전문가들로 구성돼 보다 빨리 적자 흐름을 감지했다면 좀 더 빠르고 유연한 대처가 가능했을 것이라는 지적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

낙하산 인사의 파장이 기업의 뿌리를 흔들고 있는 것이다.

현 정부는 관피아 등 낙하산 인사를 척결하겠다고 공언해왔지만, 여전히 낙하산 인사는 자행되고 있다. 다른 기업들 역시 대우조선해양과 같은 상황에 언제든지 놓일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어려운 경영 환경을 이유로 임금을 동결하고 비주력 자산을 정리하는 등 허리를 졸라매고 있다. 낙하산 인사에 억대 연봉을 쥐어주면서 말이다. 이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불신과 괴리감은 더욱 커질 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화이팅 2016-04-19 23:23:13
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정말 잘 쓰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