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정부, '청년 실업' 근본적 대책 강구해야
상태바
[기자수첩] 정부, '청년 실업' 근본적 대책 강구해야
  • 박동준 기자
  • 승인 2014.12.08 13: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매일일보 박동준 기자] 국내 굴지의 대기업 주임5년차 A씨는 아직도 팀내에서 막내다. 그가 공채로 입사한 이후부터 아직까지 인원 충원이 안됐기 때문이다.

덕분에 팀 내에서 출산휴가나 병가같이 장기 결원이 생기면 그 부담은 고스란히 A씨에게 돌아가게 된다.

A씨는 “매년 신입사원을 채용하기는 하지만 채용 인원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며 “가끔 결원이 생기면 그마저도 경력직으로 들어와 언제쯤 막내 자리를 면할지 모르겠다”고 한숨을 쉬었다.

금융권 인사팀 관계자 역시 “최근 기업에서 신입사원 채용보다는 경력직을 선호하고 있다”며 “신입을 채용해 키우는 시간과 비용보다 이미 트레이닝된 인원을 구해 즉각 활용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서는 비용 절감에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청년 실업이 화두인 요새 두 사람의 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최근 기업들의 채용 풍속도를 단적으로 나타내주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실무 경험이 있는 경력직을 상시 채용하는 것으로 신입 채용을 대신하고 있다.

실제로 취업포털사이트 사람인에 따르면 최근 기업 23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업 10곳 중 4곳이 올해 신입 채용을 줄이고 경력직 채용으로 대체했다.

올 상반기 사이트에 등록된 채용공고 155만6182건 중에서도 경력직 모집 공고는 25.9%로 신입직원 모집 공고 6.6%보다 4배 가량 많았다.

기업들의 경력직 등 경험자 선호 추세가 이어지면서 취업준비생들이 취업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고용보조지표를 보면 대학 졸업 후 첫 직장에 입사하기까지 걸리는 기간은 2005년 10개월에서 2007년 11개월, 올해 12개월로 늘어났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청년 실업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책 대신 시간제 일자리, 중규직 신설, 복합임금제 검토 등과 같은 땜칠 처방만 남발하고 있다. 일자리의 질적 성장이 아닌 단순 양적 확충으로 통계치만 그럴싸하게 포장하겠다는 것이다.

몇 년째 구직중인 한 청년의 “다들 경력직을 구하면 저같은 신입은 대체 어디에서 경력을 쌓으라는 말이죠”라는 자조섞인 한숨이 더욱 차갑게 느껴지는 요즘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