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수주, ‘물량’에서 ‘수익성’으로 전환
상태바
건설 수주, ‘물량’에서 ‘수익성’으로 전환
  • 김백선 기자
  • 승인 2014.02.03 16: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단 따고보자式’ 탈피…선별 수주전략 확산

[매일일보 김백선 기자] 국내 대형건설사들의 건설 수주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그동안 ‘일단 따고보자식’의 덩치 키우기에만 급급했던 대형사들이 수익성을 감안한 선별 수주전략으로 돌아선 것이다.

이는 지난해 국내 건설사들이 해외수주로 인해 ‘실적쇼크’ 사태가 벌어지면서다. 업계에서도 수주잔고에 얽매이는 시대는 지났다고 판단, 매출 중심이 아니라 수익성을 중심으로 계획하고 평가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공공부문 수주 전략이 수주고 증대에서 수익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계 맏형인 현대건설의 경우 지난해 1조5000억원에서 올해는 약 1조3000억원으로 내렸고, 대우건설도 지난해 1조5000억원에서 올해는 약 1조원으로 3분의 1을 줄였다.

대림산업도 지난해 1조8500억원에서 올해 1조1000억원으로 크게 낮췄으며, GS건설도 지난해 1조원의 절반인 5500억원으로 하향 설정했다.

SK건설도 지난해(6100억원)의 절반 수준인 3000억원으로 올해 수주고를 내렸고, 한화건설도 지난해(7300억원)보다 소폭 감소한 6600억원으로 올해 수주목표를 세웠다.

포스코건설과 롯데건설은 지난해와 비슷한 약 1조원, 현대산업개발도 지난해 수준인 8000억원으로 올해 수주계획을 잡았다.

최근 대표이사가 바뀐 삼성물산은 올해 사업계획을 조정 중으로 올해 공공부문 수주고를 지난해(4000억원)보다 조금 늘어난 5000억원 가량 잡을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에는 안정적인 자금 확보 수단으로 공공부문 수주 비중을 늘렸지만, 최근 시장이 작아지고 적자 공사가 많아 수익성을 갖춘 공사를 선별 수주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여기에 4대강살리기를 비롯해 대형 공공공사에 대한 입찰 담합에 관한 조사와 처분도 잇따라 대부분의 대형사들이 기술형 입찰 참여를 꺼리는 점도 수주고 하향 설정에 한몫하고 있다.

공공공사 뿐만 아니라 국내 주택과 해외분야도 수주고 증대에 주력하지 않고 수익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트렌드가 바뀌고 있다.

해외 수주시장 과당경쟁을 방지하기 위해 국내 건설사들끼리 컨소시엄을 구성, 수익성을 중시하다 보니 과열되던 경쟁 분위기가 진정되고 있다. 여기에 진출지역의 다변화와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수익성을 재고하기 위한 노력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

또한 지난해 부동산 불황에 어려움을 겪었던 국내 대형사와 중견사가 국내 주택시장에서도 리스크가 적은 수도권 위주로 분양 전략을 세우고 있다. 특히 강남 재건축단지를 중심으로 수주 전략을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수익성이 확실히 보장되는 사업이 아니라면 무리해서 뛰어들지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형·중견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물량이 부족한 중소업체까지 적정 실행 확보가 어려운 건설공사 입찰은 미련없이 외면하고 있다.

중소업체 한 관계자는 “건설경기 침체로 물량기근이 계속되고 있지만, 최근 대형사들마저 잇따라 ‘어닝쇼크’ 등을 겪고 있어 더 이상 물량확보에만 매달릴 수 없다”며 “향후에도 사업성이 확보되지 않는 곳은 차라리 수주하지 않는 게 낫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