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지방간 격차도 커져 이중 양극화

매일일보 = 최재원 기자 | 최근 집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인기지역 및 고가주택에 한정된 가운데 서울 내에서도 집값 양극화가 점차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경제만랩이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 1∼8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 2만5305건 가운데 6억원 이하는 6476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거래 중 25.6%에 해당하며 국토교통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래 가장 낮은 비율이다.
서울에서 6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도봉구로 나타났다. 도봉구 아파트 매매량 800건 가운데 6억원 이하 거래량은 626건으로 전체의 78.3% 수준이었다.
이어 강북구 64.4%, 중랑구 61.8%, 노원구 58.7%, 금천구 57.1%, 구로구 44.6%, 은평구 42.3%, 강서구 32.8%, 관악구 31.3%, 성북구 25.1% 등의 순이었다. 성동구는 전체 1092건 가운데 단 21건(1.9%)만 6억원 이하에 거래됐다.
15억원을 초과한 아파트 거래 비중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기간 서울에서 15억원을 초과한 아파트 거래량은 4428건으로 전체의 17.5%를 차지했다.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서초구로, 전체의 75.1%에 달했다. 매매된 4채 중 3채는 15억을 초과한다는 의미다. 강남구(70.6%), 용산구(63.4%), 송파구(51.7%) 등도 비중이 50%를 넘었다.
서울과 지방간 집값 차이도 벌어지고 있다.
직방에 따르면 서울은 전용 84㎡ 기준 10억4000만원으로 평균가격보다 두 배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방이 지니계수를 주택 시장에 도입해 전국 아파트 가격 격차 동향을 분석한 결과 아파트 지니계수는 지난달 말 0.441포인트(p)를 기록했다. 1에 가까울수록 아파트간 상대적인 가격 격차가 크다는 의미다.
이같은 시장 양극화의 배경으로는 정부의 규제 완화 및 대내외적 상황이 지목되고 있다. 올해 초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 대한 조정대상지역 해제와 함께 특례보금자리론과 5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이 이뤄졌고, 상반기 동안 이어진 COFIX 금리(신규취급액 기준) 등도 하락했다. 이에 침체기 누적된 아파트 대기수요가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아파트로 더 많이 몰렸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서울‧경기 등 아파트 가격이 비싼 주요 지역들이 더 빠르게 상승하며 반등을 주도하고 있고, 이에 따라 아파트간 상대적 격차가 커지고 있는 국면”이라며 “올해 초 조정대상지역 해제와 더불어 특례보금자리론 등 금융규제 완화 영향으로 작년 침체기에 누적된 아파트 대기 수요가 수도권 아파트로 더 많이 몰린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