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일일보 = 박규빈 기자 | 두산로보틱스는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5일간 국내외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 예측 결과, 희망 공모 밴드 가격이 2만6000원에 확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수요 예측에는 국내외 1920개 기관이 참여해 총 24억2379만5018주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단순 경쟁률은 272대1로 공모금액은 약 4212억 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1조6853억원 규모가 될 전망이다. 공모 금액과 더불어 수요 예측 참여 주식수를 공모 가격으로 환산 시 수요 예측 참여 금액이 약 63조원에 달하는 올해 현재까지 최대 규모 딜이다.
상장 주관사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해외 국부 펀드와 초대형 롱펀드가 공모 규모 5000억원 이하의 딜에 이례적으로 다수 참여했다"며 "국내 대형 투자 기관들이 대부분 의무 보유 확약을 제시하고 전체 참여 물량의 100%(가격 미제시 포함)가 밴드 상단인 2만6000원 이상의 가격을 제시했음에도 불구하고 두산로보틱스는 장기 투자 성향의 투자자 확보와 일반 청약자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공모 가격을 상단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번 수요 예측 전체 참여 건수 중 의무 보유 확약 비중은 수량 기준 51.6%에 달한다.
또한 기관 투자자 수요 예측 경쟁률이 시장의 예상보다 낮다는 일부의 평가에 대해 "이번 수요 예측에 참여한 기관수가 국내는 1660개, 해외는 260개"라며 "두산로보틱스는 올해 공모를 진행한 신규 상장 기업 중 최고 수준의 기관 참여도를 보이며, 실제 경쟁률에서는 흥행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두산로보틱스는 이번 IPO를 통해 확보한 공모 자금을 전략적 사업 인수·투자에 활용해 기존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완하는 한편 해외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자율 주행 로봇(AMR()·기타 주변 기술 기업 인수 △국내외 생산 시설 투자 △신규 제품 연구·개발(R&D) △해외 사업 강화 등에 사용해 회사의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로보틱스 생태계 확장을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류정훈 두산로보틱스 대표는 "이번 상장을 기반으로 당사는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글로벌 종합 로봇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두산로보틱스는 오는 21일부터 양일간 일반 청약을 거쳐 10월 5일 유가 증권 시장에 상장 예정이다. 일반 청약은 공동 대표 주관 회사인 한국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과 공동 주관 회사인 NH투자증권·KB증권, 인수 회사인 키움증권·신영증권·하나증권을 통해 실시된다.